마을기업의 개념
- 지역공동체에 산재한 각종 특화자원(향토.문화.자연자원 등)을 활용, 주민주도의 비즈니스를 통해 안정적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단위의 기업
※ 2010년 자립형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 마을기업 (명칭변경)
마을기업의 목적
- 외환위기 이후 계속되는 고용없는 성장의 구조화, 재정건전화 기조속에서 새로운 대안 및 블루오션을 전략적 발굴ㆍ육성
- 그간 마을만들기 사업 등은 관주도 지원방식으로 추진되어 불요불급한 사업추진 및 서비스 과잉공급 등 초래
따라서, 행정에서는 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주민주도로 내실있는 경영을 통해 지역문제와 과제 해결 유도 - 지역실정을 제일 잘 아는 자치단체 중심으로 지역거버넌스를 통해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사업 패러다임 전환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1년(신규사업지원 1년, 재심사 선정 시 1년 추가)
- 지원내용 : 마을기업별 최고 재심사단체 3천만원 신규단체 5천만원까지
- 지원기간 : 사업개시일(약정서에 정한 날)로부터 12개월
사업대상
- 신규 모집 마을기업 : 대전시민으로 구성된 지역의 소규모 공동체
– 마을회, 부녀회, 새마을회, NPO 등 지역단위의 소규모 공동체
– 주민자치회 및 주민센터가 관여하는 지역공동체 거버넌스 등
사업분야(예시)
- 지역자원 활용형 공동체사업
– 지역특산품ㆍ문화ㆍ자연자원 활용사업, 재래시장ㆍ상가 활성화 사업, 공공부문 위탁사업 등 - 친환경ㆍ녹색에너지 공동체사업
– 쓰레기ㆍ폐기물처리 및 자원재활용 사업, 태양열ㆍ자전거 활용 등 녹색에너지실천 사업, 외래동식물 퇴치 등 생태계 보전사업 등 - 생활지원ㆍ복지형 공동체사업
– 저소득 취약계층 지원사업,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등 사업기간 : 1+1년(신규사업지원 1년, 재심사 선정 시 1년 추가)
마을기업이란?
“마을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에 산재한 각종 특화자원을 활용,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지역주민 에게 소득 및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마을단위의 기업”
조직요건
- 민법에 따른 법인, 영농조합, 협동조합, 상법에 따른 회사 등 조직형태가 법인인자
- 지역주민 5인 이상 출자 참여하여야 하며 지역주민 비율이 70%이상
- 특정1인과 그 특수 관계인의 지분의 합이 50%이하
마을기업 사업유형
- 지역 특산물 제조 및 유통
- 지역 관광 및 문화 진흥
- 지역 주민 연계 공간 조성
- 지역기술 기반 제품 생산 및 판매
마을기업지원 및 신청절차
지원기간
최장 2년간 지원(당해 마을기업의 지속적인 수익 및 일자리창출 가능성을 검토한 후
1차년도 만료 전에 2차년도 사업을 재심사하여 지정)
지원내용
- 사업비지원(1차년도 50백만원, 2차년도 30백만원/ 자부담 총사업비의 10%), 교육 및 컨설팅
- 우수마을선정시 사업개발비 추가지원 등
마을기업 신청절차
마을기업 현황
백세밀영농조합법인
백세밀영농조합은 마을 특화사업화로 지역주민들이 참여하여 우리밀 가공제품을 생산, 마을 소득 향상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기업 입니다.
지원연도: 2012
사업내용
우리밀 가공밀가루,국수 밀쌀,누룩판매,농촌체험프로그램운영
주요메뉴
우리밀선물세트(대,중,소)
현미찹쌀, 밀쌀, 밀국수, 밀가루, 부추국수등
무말랭이, 씨래기, 매실효소 등
체험프로그램
우리밀밟기, 우리밀찐빵만들기
우리밀칼국수만들기 등
대 표 자 | 김종우 | 연 락 처 | 042-825-7881 | 팩 스 | – | 제2011- 14 |
홈페이지 | www.bsmil.co.kr | 주 소 | 유성구 세동로 488 |
kjw9881@hanmail.net |
㈜로드스쿨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스스로의 인생을 계획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청소년 여행학교 프로젝트 운영 아울러 해외 배낭여행과 워크캠프를 통한 다른 인종과 문화에 대한 이해와 연대를 통해 지구 공동체 실천하는 마을기업 입니다.
지원연도: 2011
사업내용
청소년교육(유성지역탐방, 인문사회예술 등) 청소년해외여행프로그램
(동남아배낭여행)
대 표 자 | 이성한 | 연 락 처 | 070-8879-7946 | 팩 스 | 042-825-3270 | 제2011- 15 |
홈페이지 | http://cafe.naver.com/ tjroadschool |
주 소 | 유성구 지족로364번길 19 성훈프라자 605호 |
younhee710@naver.com |
중세동 농산물 영농조합 법인
농산물 생산 가공 판매
지원연도: 2011
사업내용
상추, 토마토 등 친환경 농산물 시설재배
주요생산품
농산물 생산 (딸기, 토마토, 상추, 쑥갓)
농산물 직거래
과일채소 가공(즙,잼)
대 표 자 | 김영현 | 연 락 처 | 010-2380-2345 | 팩 스 | 042-822-5619 | 제2011- 16호 |
홈페이지 | www.jsedong.co.kr | 주 소 | 유성구 세동로 257번길?24 |
kyhan0488@hanmail.net |
㈜초원미래나눔
㈜초원미래나눔은 중년여성의 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 마을 커뮤니티비지니스 공간 마을카페 운영 규방공예, 건강 먹거리 만들기 등 지역자원과 연계를 통한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마을기업 입니다.
지원연도: 2012
사업내용
마을카페운영, 마을주민 교육 및 쉼터 제공, 친환경 먹을거리 제공
주요 생산품
맛간장, 생강청, 규방공예 등
대 표 자 | 김은희 | 연 락 처 | 070-4323-4077 | 팩 스 | 042-826-4078? | 제2012- 10 |
홈페이지 | http://cafe.daum.net/grass-land | 주 소 | 은구비서로 24번길 60(지족동) |
bris-g@hanmail.net |
건강마을협동조합
청년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공간을 운영하며 건강한 삶 건강한 마을을 가꾸기 위한
공동체 컨텐츠 개발에 노력하는 마을기업 입니다.
지원연도: 2013
사업내용
마을 커뮤니티 공간 운영
대 표 자 | 유미조 | 연 락 처 | 070-7746-3355 | 팩 스 | 042-825-3270 | 제2013- 119호 |
홈페이지 | – | 주 소 | 유성구 지족로 364번길 19 (지족동, 605호) |
healcoop@hanmail.net |
상상협동조합
상상협동조합은 마을카페“공유”를 운영하며 지역주민들과 함께 도시형원룸 공동체를 구축 배움과 토론으로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마을기업 입니다.
지원연도: 2013
사업내용
마을 커뮤니티 공간 운영
카페 메뉴
커피, 수제버거, 음료, 브런치
대 표 자 | 박현주 | 연 락 처 | 042-864-0606 | 팩 스 | – | 제2013 -120 |
홈페이지 | http://blog.naver.com/ cocafe06 |
주 소 | 유성구 신성남로 99 1층 (신성동) |
cocafe06@gmail.com |
대덕밸리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대덕특구 연구소에 근무하던 연구원들이 모여 만든 협동조합으로 차량용 CO2저감용 단말기 등을 연구개발 하는 마을기업 입니다.
지원연도: 2014
사업내용
차량용 에코단말기 개발
대 표 자 | 민병도 | 연 락 처 | 042-362-4118 | 팩 스 | 042-362-4119 | 제2014 -1-022호 |
홈페이지 | – | 주 소 | 가정로 218 103-1호 |
ypark@dvrc.co.kr |
사회적협동조합품앗이마을
유성을 꾸미자! 다함께! 즐겁게! 라는 기업의 캐츠프레이즈로 디자인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이 뭉쳐 만든 마을기업 입니다.
지원연도: 2013
사업내용
로컬푸드 직거래 판매
(농산물,식품,잡화도소매업)
대 표 자 | 이원호 | 연 락 처 | 042-824-0117-8 | 팩 스 | – | 2014-1- 021 |
홈페이지 | – | 주 소 | 지족로364번길40 (지족동,105호) |
adpro0715@naver.com |
아이씨티식물농장협동조합
아이씨티(ICT)식물농장협동조합은 ICT(정보통신기술) 접목한 식물농장을 통하여 유성 주민이
믿을 수 있는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농업을 통한 고소득 모델을 구현하여 조합원 및
지역주민에게 안정적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마을기업입니다.
지원연도: 2015
사업내용
친환경공법 채소(쌈종류 야채) 재배 판매
대 표 자 | 김순남 | 연 락 처 | 010-4071-0878? | 팩 스 | – | 2015-154호 |
홈페이지 | – | 주 소 | 유성구 화암동 13-3 |
weict@naver.com |
OB연구소 협동조합
오비연구소협동조합은 좋은 먹거리 공급을 위해 2015년에 협동조합으로 출범하였고 친환경
천연발효법으로 만든 건강한 빵을 공급하고 카페를 함께 운영하여 편안한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마을기업입니다.
지원연도: 2015
사업내용
친환경 로컬푸드 재료를
활용한 제빵·판매
대 표 자 | 이계남 | 연 락 처 | 070-4633-8649 | 팩 스 | – | 2015-46호 |
홈페이지 | – | 주 소 | 유성구 지족로 364번길 40 (지족동,105호) |
obcoop0178@ gmail.com |
엄마처럼 협동조합
엄마처럼은 대전.유성구.지족동에서 안전한 먹거리에 관심이 많은 주부8명이 모여 만든 친환경반찬가게입니다.
“음식은 맛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 먼저입니다”. 요리를 할 때는 제철재료를 우선으로 하고 재료하나 고를 때에도 국산인지 살피고 자연그대로 맛을 내는 건강한 밥상을 차리려 노력합니다.
친환경 반찬판매
반찬수업
월2회 교육비무료 (재료비 별도)
같이 만들고 시식 후 가져가며 바른 먹거리를
함께 공유해요.
대 표 자 | 유산수 | 연 락 처 | 042-826-9234 | 팩 스 | – | 제2016-029호 |
홈페이지 | – | 주 소 | 유성구 은구비서로23번길 8-16 1층 |
rk5874@ naver.com |
농업회사법인 내뜰(주)
농업회사법인 내뜰(주)은 유성구 구암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화훼, 허브, 분재 생산과 곤충을 사육하여 판매도 하고 꽃을 이용한 압화체험 및 유치원, 초등학생에게 인기가 좋은 곤충 체험도 할수 있는 마을기업입니다.
사업내용
화훼, 분재 재배와 곤충학습관을 통한 현장 체험, 학습 및 생산품 판매사업
대 표 자 | 고석광 | 연 락 처 | 010-5341-4036 | 팩 스 | – | 제2018 -028호 |
홈페이지 | – | 주 소 | 유성구 구암동 425-14 |
kcw5945@hanmail.net |
㈜대전영상문화
㈜대전영상문화는 유성구 장대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치원, 어린이집 졸업앨범 제작 및 가정의 오래된 VHS테잎과 가족사진을 포토북으로 재생하는 등 다양한 사진상품을 개발하는 마을기업입니다.
사업내용
화훼, 분재 재배와 곤충학습관을 통한 현장 체험, 학습 및 생산품 판매사업
대 표 자 | 이정의 | 연 락 처 | 010-2384-9463 | 팩 스 | – | 제2018 -030호 |
홈페이지 | – | 주 소 | 유성구 유성대로 730번길24,17호 |
qaza2000@naver.com |
향기있는부엌 협동조합
향기있는부엌은 유성구 하기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강한 식재료로 건강하고 맛까지 멋스러운 요리를 만들어 건강한 가정,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마을기업입니다.
사업내용
쿠킹클레스 및 도시락 제조업
대 표 자 | 김미진 | 연 락 처 | 010-8561-9371 | 팩 스 | – |
홈페이지 | – | 주 소 | 유성구 하기로 34-29 |
kimmijin100@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