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모니터봉사단이란?
우리 지역의 재난예방활동을 스스로 수행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자원봉사 단체입니다. 거주지 주변 또는 직장 등 자신이 사회 활동하는 지역의 위험요소를 늘 주의깊게 순찰하며 발견하여 신고함으로써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주민들의 모임으로 전국적인 조직을 가지고 있습니다(전국안전모니터봉사단 홈페이지 https://www.safetyreport.go.kr/safetyguard )
안전모니터봉사단의 역할
- 주변을 정기적으로 상시 순찰하면서 일상생활에서 크고 작은 재난안전 사고가 발생할만한 위험 요소를 발견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신고 및 제보합니다.
- 안전 부주의, 안전 불감증 등 국민들의 안전의식 수준을 높이는 안전 문화 실천 활동 전개합니다.
- 기타 재난예방과 안전관리를 위한 시책사업에 적극 참여합니다.
유성구 안전모니터봉사단
2009년 7월 성노현단장을 포함 29명의 단원으로 발족한 이래 현재 760명이 관내 곳곳을 상시적으로 순찰과 모니터링을 통해 위험요소를 발견해 신고하는 한편 안전한국훈련, 안전점검의 날 캠페인 등 재난 안전 관련 다양한 시책 사업에 참여하여 안전 유성 건설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설립배경
날로 대형화, 복합화 되어가는 자연재난을 행정 기관의 역량만으로는 대처에 한계가 있으므로 예방·대비·초기대응 및 피해 조기수습 등에도 적극 활동할 수 있는 방재전문 민간조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 관련법령:‘자연재해대책법’ 제66조
주요 활동 사항
평상시 재난예방 활동 등
- 대표적인 수해 상습지였던 유성천이 개선 공사를 통해 수해 방지는 물론 유성의 대표적인 아름다운 하천으로 거듭났습니다.
- 하천 폭을 넓히고 제방과 보를 쌓는 등 정비 작업을 통해 침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벽천분수, 관람데크, 자전거 도로, 돌다리 등 다양하고 아기자기한 편의시설을 갖추어 쾌적하고 아름다운 생활공간으로 거듭난 유성천은 2011년 제1회 대한민국 경관대상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여 그 미려한 자태를 전국적으로 인정 받았습니다.
- 향후 유성천은 정비가 끝난 하류에 이어 상류지역에 생태습지와 수변공원 조성, 오염원 차단 등을 통해 자연과 사람이 함께 숨쉬며 뛰노는 농촌체험형 생태하천으로 탈바꿈할 예정입니다.
– 개선 공사가 마무리되면 유성천은 유성지역을 흐르는 대표적인 젖줄로 안전하고 쾌적한 휴식공간으로, 생명과 즐거움이 넘치는 가족공간으로 거듭날 것입니다.
태풍·집중호우 등 재난시 대비 활동 전개
- 인명피해 우려지역 행락·야영객 사전대피 지원
- 재난안전선(SAFETY LINE) 설치, 야간 차량통제 등 참여
- 방재단원 상황실 근무, 동사무소와 합동 현장순찰
- 피해상황을 지역 상황실에 보고
- 집중호우 침수지역 양수기 지원 및 가동
- 하천제방 유실지역에 마대 쌓기로 2차 피해 방지
추진배경
- 기후변화와 도시화, 산업화 등의 영향으로 재난의 돌발성과 대형화, 광역화되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역량만으로 대처 부족하고 재난현장에 다양한 기술·기능을 가진 전문가 지원이 긴급하게 요구되고 있습니다.
재난안전네트워크란
- 재난관련 다양한 분야의 전문기관이 연계하여 그동안 개별 단체별로 진행되던 자원봉사 활동을 보다 체계화·전문화 시킨 네트워크 조직입니다.
의의
- 재난안전네트워크가 구성되면서 다양한 단체로부터 재난현장의 신속한 정보수집으로 정확한 자원봉사수요를 예측하고, 단체간의 역할분담, 상호지원 등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합니다.
유성구 재난안전네트워크 현황
- 재난안전네트워크가 구성되면서 다양한 단체로부터 재난현장의 신속한 정보수집으로 정확한 자원봉사수요를 예측하고, 단체간의 역할분담, 상호지원 등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합니다.
구분 | 단체명 | 회원수 |
---|---|---|
정회원 | 유성구 새마을회 | 937 |
해병전우회 유성구지회 | 48 | |
북부소방서 의용소방대 | 240 | |
바르게살기 유성구협의회 | 400 | |
특전동지회 유성구지회 | 50 | |
유성구 자원봉사회 | 26,920 | |
대한적십자 유성구지회 | 340 | |
유성구 지역자율방재단 | 440 | |
협력회원 | 유성구청 | 733 |
태풍·집중호우 등 재난시 대비 활동 전개
- 인명피해 우려지역 행락·야영객 사전대피 지원
- 재난안전선(SAFETY LINE) 설치, 야간 차량통제 등 참여
- 방재단원 상황실 근무, 동사무소와 합동 현장순찰
- 피해상황을 지역 상황실에 보고
- 집중호우 침수지역 양수기 지원 및 가동
- 하천제방 유실지역에 마대 쌓기로 2차 피해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