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민동은 주거·문화·교육 등 살기 좋은 정주여건을 갖춘 삶의 질의 만족도가 높은 최고의 도시로서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가 높으며, 대덕특구 내에 위치하여 유성의 발전과 경쟁력을 견인하고 있는 미래 도시입니다
조선시대 정민역이 설치되어 있던 곳으로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된 김반·김익겸의 묘가 위치하고 있으며 잊혀져 가는 전통문화 계승과 발전을 위해 매년 주민들의 산소골 상여놀이 시연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래 도시답게 우수한 고급인력과 산·학·관·연의 조화를 통해 대전 내에서 살기 좋은 동네 중 하나이자 좋은 교육환경을 갖추고있 습니다
역사적으로 전민동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삼국시대부터로 회덕에서 공주로 가는 큰길에 편의시설로 정민역(貞民驛)이 있어 정민말로 불리다 변하여 전민으로 되었다 한다. 기록으로 보면 백제때는 우술군, 신라때는 비풍군, 고려때는 공주부에 속했었다. 조선말기(1895년)에는 회덕군에 속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정민리, 탑립리, 청유리 일부를 병합하여 전민리라 하고 대전군 구즉면에 편입되었다. 그후 1983. 2.15 대전시 중구에 속했다가 1984. 9. 1부터 대전시 직할 유성출장소 관할지역이 되었고 1995. 1. 1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이 되었다.조선영조 36년(1760년)에 발간된 여지도서의 기록을 보면 전민동에는 113호, 331명이 살았고 1981년의 기록에는 159호 864명이 거주하던 작은 마을로 이곳은 1990년대에 들어와 각종 연구기관이 들어서고 ’93대전 엑스포박람회를 치르면서 대규모 엑스포아파트등이 들어서면서 탈바꿈했다.
원촌동은 백제시대에는 우술군에, 고려때는 공주부에 속했으며 조선시대에는 숭현서원이 있으므로 서원말, 원촌동이라 부르던 곳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원촌동과 방축리, 문지리 일부를 병합하여 원촌리라 하고 대전군 구즉면에 편입됐다. 그후 1983.2.15 대전시 지역확장에 따라 대전시 중구에 편입되고 1989. 1. 1 대전직할시 유성구에 속하고 1995. 1. 1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촌동이 되었다.
(2025년 기준/ 단위 : ㎢)
합계 | 전 | 답 | 임야 | 기타 | 구 면적 대비 |
---|---|---|---|---|---|
9.01 (100%) |
0.23 (3%) |
0.67 (7%) |
3 (33%) |
5.11 (57%) |
5.1% |
(2025. 2월 기준)
행정구역 | 세대수 | 인구수(명) | ||||
---|---|---|---|---|---|---|
법정동 | 통 | 반 | 계 | 남 | 여 | |
3 | 56 | 251 | 11,301 | 25,715 | 13,245 | 12,470 |
(2025. 2월 기준, 단위: 명)
구분 | 계 | 5급 | 6급 | 7급 | 8급 | 9급 | 기타 |
---|---|---|---|---|---|---|---|
정원 | 14 | 1 | 2 | 4 | 5 | 2 | |
현원 | 13 | 1 | 2 | 6 | 2 | 2 |
(2025. 2월 기준, 단위: 개소)
소계 | 초 | 중 | 고 | 대학 |
---|---|---|---|---|
7 | 2 | 2 | 1 | 2 |
(2025. 2월 기준)
층별 | 시설명 | |||
---|---|---|---|---|
4층 | 하늘정원 | |||
3층 | 배움방 1~3, 예비군 중대본부 | |||
2층 | 다목적강당 / 주민사랑방 | |||
1층 | 동장실 / 통합민원실 / 상담실 / 무인민원발급기(1층 입구) |